-
Linux, vmstat과 crontab을 이용한 사용량 로그 저장하기Linux 2020. 5. 27. 14:06
[목표]
Linux 환경에서 현재 사용중인 cpu, ram의 사용량을 vmstat 명령어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그 로그 기록을 crontab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저장합니다.
[방법 1.]
crontab에 vmstat 명령어를 바로 등록
$ crontab -e
#1분마다 , vmstat을 1초 간격으로 10번, /home/ec2-user/logs/vmstat.log에 저장
* * * * * vmstat 1 10 >> /home/ec2-user/logs/vmstat.log
crontab에 작업을 등록 [결과물 1.]
#기록된 로그 확인
$cat vmstat.log
설정된 주기(1분마다, 1초 간격으로 10번)마다 vmstat 로그가 쌓이고 있다. [방법 2.]
sh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crontab에 등록(date 명령어 추가)
$ vi vmstat_script.sh
# date로 현재 날짜와 시간조회, vmstat을 1초 간격으로 10번 반복
#!/bin/bash
date
vmstat 1 10
$ chmod 755 vmstat_script.sh
$ crontab -e
* * * * * (1분마다 반복) [결과물 2.]
#기록된 로그 확인
$cat vmstat.log
date 명령어가 추가되어 로그가 기록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EC2의 AMI는 미국기준으로 시간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대 변경이 필요하다!
끝.
[참고]
https://chloro.tistory.com/108
[메모리 상태 확인 - vmstat]
vmstat 설명 현재 메모리의 상태를 출력함. 프로세스 정보 , 메모리 사용량 , 스왑 , IO 상태 및 CPU 활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명령어 vmstat [옵션] vmstat [시간] [반복] vmstat 5 5 (5초 간격으로 1
chloro.tistory.com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c.local을 이용한 서버 부팅 후 쉘 스크립트 실행 (0) 2020.10.19 Linux crontab 백업, 비우기, 복원하기 (0) 2020.07.16 Linux crontab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ping test (0) 2020.05.20 Amazon Linux에서 시간대 변경 (0) 2020.05.11 dd 명령어를 이용한 Linux 더미 파일 생성 (0) 2020.04.21